맨위로가기

페르세폴리스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세폴리스는 이란 혁명 전후의 사회적 격변 속에서 성장하는 소녀 마르잔의 자전적 이야기를 다룬 2007년 프랑스-이란 합작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마르잔 사트라피가 자신의 동명 그래픽 노블을 원작으로 하여, 이란의 정치적 혼란과 사회적 억압 속에서 겪는 개인의 성장과 정체성 탐구를 흑백 애니메이션 기법으로 섬세하게 그려냈다. 영화는 이란 혁명, 이란-이라크 전쟁, 망명 생활 등 마르잔의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이란 사회의 변화와 갈등을 보여주며, 비평가들의 호평과 함께 여러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그러나 이란 정부는 영화의 내용에 반발하여 상영 금지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 혁명을 소재로 한 영화 - 아르고 (영화)
    1979년 이란 혁명 당시 테헤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을 배경으로 CIA 요원이 가짜 영화 제작을 통해 인질을 구출하는 실화를 그린 2012년 미국의 스릴러 영화 《아르고》는 벤 애플렉 감독/주연, 조지 클루니 제작 작품으로, 역사 왜곡 논란과 반미 감정 비판에도 불구하고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했다.
  • 이란 혁명을 소재로 한 영화 - 옥수수밭의 아이들 (1984년 영화)
    1984년 개봉한 영화 옥수수밭의 아이들은 스티븐 킹의 소설을 각색한 초자연 공포 영화로, 조지 골드스미스가 각본을 맡았고 버트와 비키 부부가 옥수수밭에서 겪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부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여러 속편을 낳은 시리즈의 첫 작품이다.
  • 마르잔 사트라피 감독 영화 - 마리 퀴리 (영화)
    2020년에 개봉한 마르잔 사트라피 감독의 전기 영화 《마리 퀴리》는 로자먼드 파이크가 마리 퀴리 역을, 샘 라일리가 피에르 퀴리 역을 맡아 퀴리 부부의 방사능 연구와 노벨상 수상, 폴 랑주뱅과의 스캔들을 보여주며 역사적 사실 왜곡 논란과 함께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마르잔 사트라피 감독 영화 - 어느 예술가의 마지막 일주일
    2024년 개봉 예정인 영화 "어느 예술가의 마지막 일주일"은 아내와의 갈등으로 삶의 의욕을 잃은 예술가가 죽음을 결심하기까지 8일간 겪는 내면의 갈등을 다루며, 2010년대 초 한국 사회의 불안정한 측면을 반영하여 사회적 문제에 대한 성찰을 담아내려 한다.
  • 자전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 - 헐리웃 스토리
    1990년 개봉한 영화 《헐리웃 스토리》는 약물 중독에서 벗어나 재기를 꿈꾸는 여배우 수잔 밸이 왕년의 대배우인 어머니 도리스 만과 함께 생활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코미디 드라마이다.
  • 자전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 - 단순한 열정
    《단순한 열정》은 아르비드 브룀달 감독의 2020년 드라마 영화로, 아니 에르노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여 문학 교수 엘렌이 러시아 외교관 알렉상드르와 격정적인 사랑에 빠지면서 겪는 감정 변화와 내면적 갈등, 여성의 욕망과 주체성, 사랑과 집착의 경계를 다룬다.
페르세폴리스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연극 개봉 포스터
연극 개봉 포스터
원제Persepolis
감독마르잔 사트라피
뱅상 파로노
각본마르잔 사트라피
뱅상 파로노
원작페르세폴리스
제작마르크=앙투안 로베르
자비에 리골
주연키아라 마스트로이안니
카트린 드뇌브
다니엘 다리유
시몽 아브카리안
가브리엘 로페스
음악올리비에 베르네
편집스테판 로슈
제작사2.4.7. 필름
프랑스 3 시네마
케네디/마셜 컴퍼니
프랑슈 커넥션 애니메이션
디아파나 디스트리뷰션
배급사디아파나 디스트리뷰션 (프랑스)
소니 픽처스 클래식스 (미국)
개봉일2007년 5월 23일 ()
2007년 6월 27일 (프랑스)
2007년 12월 25일 (미국)
상영 시간96분
제작 국가프랑스
미국
언어프랑스어
영어
페르시아어
독일어
제작비730만 달러
흥행 수익2280만 달러
외부 링크
공식 홈페이지칸 영화제
BFI영국 영화 협회

2. 줄거리

파리 오를리 공항에서 이란 테헤란행 비행기 탑승을 망설이는 마르잔 사트라피가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는 것으로 영화는 시작된다. 이야기는 이란 혁명 직전인 1978년, 테헤란에 사는 9살 소녀 마르지의 시점에서 시작된다. 마르지의 가족은 정권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여하고, 혁명 이후 잠시 자유를 맛보지만, 이내 이슬람 근본주의 정권이 들어서며 사회는 다시 경직된다. 여성에 대한 억압이 심해지고 정치적 반대파는 숙청당한다.

이란-이라크 전쟁이 발발하면서 사회 통제는 더욱 강화되고, 마르지는 헤비 메탈 음악을 듣고 서양식 옷을 입는 등 청소년기의 반항을 보인다. 정부에 비판적인 발언으로 학교에서 문제를 일으키자, 부모는 마르지의 안전을 위해 오스트리아 으로 유학을 보낸다. 그러나 마르지는 유럽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정체성 혼란과 외로움 속에서 방황하다 결국 이란으로 돌아온다.

귀국 후에도 이란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우울증을 겪던 마르지는 대학에 진학하고 레자와 결혼하지만, 사회의 억압적인 분위기와 이중 잣대 속에서 갈등하다 결국 이혼한다. 친구의 비극적인 죽음을 계기로 마르지는 이란을 완전히 떠나기로 결심한다. 영화는 다시 현재의 파리 공항으로 돌아와, 택시 기사의 질문에 "이란"이라고 답하며 자신의 뿌리를 확인하는 마르지의 모습으로 마무리된다.

2. 1. 이란 혁명과 아누쉬 삼촌

1979년 이란 혁명 당시, 마르지의 중산층 가족은 정권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여하지만, 어린 마르지는 안전 문제로 집에 남겨진다. 혁명 이후, 오랫동안 투옥되었던 마르지의 삼촌 아누슈가 석방되어 가족과 재회한다. 아누슈는 저녁 식사 자리에서 자신이 겪었던 고난과 정치적 신념에 대해 이야기하며 마르지에게 큰 영향을 준다.

그러나 샤가 물러난 후 실시된 선거에서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이 승리하면서 상황은 다시 변한다. 새로운 정권은 엄격한 이슬람 율법을 사회 전반에 강요하고, 특히 여성들에게는 히잡 착용을 의무화하는 등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아누슈는 과거의 정치 활동을 문제 삼아 다시 체포되고 결국 처형당한다. 아누슈의 죽음과 사회적 통제가 강화되면서 많은 이란인들이 자유를 찾아 국외로 탈출하기 시작한다.

2. 2. 이란-이라크 전쟁과 사회 통제

이란-이라크 전쟁이 발발하자 이란 정부는 사회적 자유를 더욱 억압했다. 마르지의 삼촌 타헤르는 심장마비를 겪어 수술을 위해 영국으로 가야 했지만, 보건 위원회의 허가를 받은 사람만 출국이 가능했다. 마르지의 이모가 허가를 받으러 갔을 때 병원장이 과거 자신의 집 창문 청소부였으며, 무능하고 종교적 권위에만 복종하는 인물임을 알게 된다. 결국 타헤르 삼촌은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고 사망한다.

한편, 성장한 마르지는 암시장에서 헤비 메탈 음악 테이프를 구하고 서양식 옷을 입는 등 당시 사회 분위기에 반항적인 모습을 보였다. 학교에서는 정부의 억압과 거짓 선전에 대해 교사에게 공개적으로 이의를 제기하다가 퇴학당한다. 마르지의 안전을 염려한 부모는 그녀를 오스트리아 에 있는 프랑스 고등학교로 보내기로 결정한다.

2. 3. 빈 유학과 좌절

마르지는 성장하면서 헤비 메탈 음악을 암시장에서 구하고 서양식 옷을 입는 등 개인의 자유를 추구하나, 학교에서는 정부의 부당한 처사에 대한 교사의 거짓말에 공개적으로 반박하다 퇴학당한다. 안전을 염려한 부모는 마르지를 오스트리아 으로 보내 프랑스 고등학교에 다니게 한다. 처음에는 어머니의 가장 친한 친구와 지내지만, 이후 가톨릭 수녀들이 운영하는 기숙사로 옮겨 생활한다.

그러나 마르지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친구를 거의 사귀지 못하며 깊은 외로움과 문화적 이질감을 느낀다. 수녀를 모욕한 일로 기숙사에서 쫓겨나고, 이후 여러 집을 전전하며 불안정한 생활을 이어간다. 이후 불안정한 성격의 전직 교사 드. 프라우 슐로스의 집에 머물게 되지만, 그곳에서도 어려움을 겪는다.

정체성 혼란을 겪던 마르지는 한 파티에서 자신이 프랑스인이라고 거짓말하기도 한다. 남자친구 마르쿠스와 관계를 발전시키지만, 그가 다른 여자와 바람 피우는 것을 보고 헤어진다. 설상가상으로 슐로스에게 절도 누명을 쓰고 집에서 쫓겨나 거리를 방황하게 된다. 갈 곳 없이 공원 벤치에서 지내던 마르지는 몇 달간 길거리 생활 끝에 심각한 기관지염에 걸려 쓰러진다. 병원에서 의식을 되찾은 후, 마르지는 이란의 가족에게 연락하여 집으로 돌아가기로 한다.

2. 4. 이란 귀환과 재적응

마르지는 이란-이라크 전쟁 종전 후 삶이 나아지리라는 가족의 기대를 안고 이란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현실은 달랐고, 깊은 우울증에 빠진 마르지는 약물 과다 복용으로 자살을 시도한다. 꿈속에서 신을 만나 아직 자신의 삶이 끝나지 않았다는 말을 듣고 다시 일어설 힘을 얻는다. 우울증에서 벗어난 그녀는 대학교에 진학하여 새로운 삶을 시작하고, 그곳에서 동료 학생 레자와 만나 연애를 시작한다.

2. 5. 이중 잣대와 결혼, 그리고 이혼

마르지는 밖에서 남자친구 레자를 기다리다가 화장을 했다는 이유로 경찰에게 체포될 위기에 처한다. 그녀는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근처에서 자신을 훔쳐보던 남자가 부적절한 발언을 했다고 거짓말을 한다. 이 사실을 알게 된 할머니는 마르지를 꾸짖으며, 할아버지와 삼촌 아누슈가 자유를 위해 목숨을 바쳤음을 상기시키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자신의 정직성을 희생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마르지는 이후 대학 수업 시간에 연설하며, 공중도덕에 관한 대학교 포럼에서 여성에게만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는 성차별적인 이중 잣대를 비판한다. 하지만 사회의 시선은 여전히 엄격했고, 마르지와 레자가 공개된 장소에서 손을 잡았다는 이유로 두 사람의 가족 모두 벌금을 내야 했다. 결국 마르지와 레자는 결혼하지만, 이들의 결혼 생활은 오래가지 못하고 1년 만에 이혼으로 끝난다.

2. 6. 이란을 떠나다

마르지가 참석했던 파티가 근본주의 경찰에게 급습당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여자들은 구금되고, 남자들은 옥상을 통해 탈출하려다 친구 니마가 추락하여 사망한다.[11] 이 충격적인 사건 이후 마르지는 이란을 영원히 떠나기로 결심한다.

떠나기 전, 마르지는 자유를 위해 희생된 할아버지와 삼촌 아누슈의 무덤을 방문한다. 그녀의 어머니는 딸의 안전을 염려하며 다시는 돌아오지 말라고 간곡히 부탁한다. 마르지가 이란을 떠난 직후, 그녀의 할머니는 세상을 떠난다.[11]

시간이 흘러 현재, 파리 오를리 공항에 도착한 마르지는 택시에 오른다. 택시 운전사가 어디에서 왔는지 묻자, 그녀는 잠시 생각에 잠긴 후 "이란"이라고 대답하며, 자신을 아끼고 지지해주었던 할머니와의 마지막 기억을 떠올린다.[1]

3. 등장인물

영화의 주요 등장인물과 목소리 연기를 맡은 배우는 다음과 같다. 상세한 인물 설명은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



'''영어 버전 성우'''

  • 할머니 (목소리: 지나 롤런즈)
  • 아버지 (목소리: 숀 펜)
  • 어린 마르잔 (목소리: 아메시스트 프레지냐크)
  • 아누쉬 삼촌 (목소리: 이기 팝)

3. 1. 주요 등장인물


  • '''마르잔 (마르지)''': 주인공이자 화자. 이란 혁명이란-이라크 전쟁 등 격동의 시기를 이란유럽()을 오가며 겪는 개인적인 갈등과 성장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권위적인 체제에 순응하지 않고 자신의 목소리를 내려고 노력하는 인물이다. 헤비 메탈 음악을 좋아하고 서구식 옷을 입는 등 당시 이란 사회의 규범에 도전하는 모습을 보인다. (목소리: 키아라 마스트로이안니, 어린 시절: 가브리엘 로페스)
  • '''타지 (어머니)''': 마르지의 어머니. 진보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이란 혁명 초기 시위에 참여하기도 한다. 딸의 안전을 걱정하여 으로 유학을 보내지만, 딸이 겪는 어려움에 함께 아파한다. 마르지가 다시 이란을 떠날 때, 그녀의 안전을 위해 돌아오지 말라고 당부한다. (목소리: 카트린 드뇌브)
  • '''에비 (아버지)''': 마르지의 아버지. 아내와 마찬가지로 진보적이며 개방적인 사고방식을 가졌다. 마르지의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주며, 그녀의 선택을 지지하고 격려한다. (목소리: 시몽 아브카리안, 영어 버전: 숀 펜)
  • '''할머니''': 마르지의 할머니. 마르지에게 정직과 존엄성을 잃지 말 것을 강조하는 정신적 지주이다. 마르지가 정체성 혼란을 겪을 때마다 중요한 조언을 해준다. 특히 마르지가 경찰에게 거짓말을 했을 때, 자유를 위해 희생한 가족들을 언급하며 강하게 질책한다. (목소리: 다니엘 다리외, 영어 버전: 지나 롤런즈)
  • '''아누쉬 삼촌''': 마르지의 삼촌. 이란 혁명 이후 석방된 공산주의 활동가이다. 자신의 신념 때문에 오랜 기간 투옥되었던 경험과 혁명에 대한 이상을 마르지에게 이야기해주며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새로운 이슬람 공화국 정권 하에서 다시 체포되어 처형당하며, 마르지에게 큰 충격과 슬픔을 안겨준다. (목소리: 프랑수아 제롬, 영어 버전: 이기 팝)

3. 2. 기타 등장인물


  • '''어린 마르잔''': 마르잔 사트라피의 어린 시절 모습. 프랑스어 버전에서는 가브리엘 로페스 베니테스가, 영어 버전에서는 아메시스트 프레지냐크가 목소리를 연기했다. 9살 때 이란 혁명을 겪으며 이슬람 공화국의 탄생을 지켜본다.
  • '''타헤르 삼촌''': 마르잔의 삼촌. 이란-이라크 전쟁 중 심장마비를 겪어 해외 수술이 필요했지만, 경직된 관료주의와 이슬람 근본주의 정권의 무능으로 인해 제때 여권을 발급받지 못하고 결국 사망한다. 이는 당시 이란 사회의 비효율성과 비인간적인 단면을 보여준다.
  • '''호스로''': 위조 여권 제작자. 공산주의 신념 때문에 수배된 니루파를 숨겨주던 인물이다. 마르잔의 가족이 타헤르 삼촌의 여권을 구하기 위해 찾아갔으나, 니루파가 체포된 후 도피한다. 정권의 억압 속에서 위험을 감수하는 인물 중 하나이다.
  • '''니루파''': 공산주의 신념을 가진 젊은 여성. 호스로의 집에 숨어 지내다 발각되어 정권에 의해 처형당한다. 그녀의 죽음은 당시 이란의 정치적 탄압과 희생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 '''프라우 슐로스''': 마르잔이 에서 머물던 시절의 하숙집 주인. 불안정한 성격의 전직 교사로, 마르잔에게 절도 누명을 씌워 쫓아낸다.
  • '''마르쿠스''': 마르잔이 에서 사귀었던 남자친구. 마르잔을 속이고 다른 여자와 바람을 피우다 관계가 끝난다.
  • '''레자''': 마르잔이 이란 귀국 후 대학교에서 만난 동료 학생. 연애 끝에 결혼하지만, 사회적 제약과 개인적 차이 등으로 인해 1년 만에 이혼한다. 공공장소에서 손을 잡았다는 이유로 벌금을 무는 등, 당시 이란 사회의 엄격한 통제를 경험한다.
  • '''니마''': 마르잔이 참석했던 파티에 있던 청년. 이슬람 근본주의 경찰의 단속을 피해 도망치던 중 옥상에서 추락하여 사망한다. 젊은이들이 겪는 정권의 억압과 비극적인 현실을 드러내는 인물이다.

4. 제작 과정

페르세폴리스마르잔 사트라피의 동명 그래픽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원작자인 마르잔 사트라피가 뱅상 파로노와 함께 공동으로 감독을 맡았다. 제작 초기에는 애니메이션 제작의 어려움 때문에 실사 영화화 제안도 있었으나, 사트라피는 원작의 독특한 분위기와 메시지를 살리기 위해 애니메이션 방식을 고수했다.[12] 영화는 원작의 특징인 흑백 그림체를 주로 사용했으며, 프랑스의 여러 전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가 제작에 참여했다. 총 제작비는 약 600만유로가 투입되었다.[13]

4. 1. 영화 제작 배경

이 영화는 원작 그래픽 소설의 흑백 스타일을 살려 제작되었다. 사트라피는 DVD 보너스 기능에서 이 방식을 통해 장소와 등장인물이 외국에서 온 외국인처럼 보이지 않고, 오히려 한 나라가 이란처럼 변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냥 한 나라의 사람들처럼 보이게 하려 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장면은 컬러로 표시되는 반면, 역사적 서술 부분은 그림자극 쇼와 유사하다. 이 디자인은 미술 감독이자 총괄 프로듀서인 마크 주세가 만들었다. 애니메이션은 페르세프로드(Perseprod) 스튜디오의 작품이며, 즈 쒸 비엥 콩탕과 Pumpkin 3D 두 개의 전문 스튜디오에서 제작했다.

마르잔 사트라피와 뱅상 파로노(Winshluss)가 각본 및 감독을 맡았다. 제작자 마르크-앙투안 로베르와 자비에 레골은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의 어려움 때문에 처음에는 반대했지만, 주인공 사트라피에게 애니메이션을 피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로베르는 "나는 프랑스 만화가 신세대를 꽤 잘 알고 있는데, 마르잔의 작품이 걱정된다. 나는 그녀를 위해 오리지널 각본을 써주는 것을 제안했는데, 애니메이션 영화는 전혀 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 나는 그것이 얼마나 복잡한 일인지 알고 있었다."라고 말했다.[12] 결국 제작자들은 사트라피의 바람을 따라 그녀의 소설 ''페르세폴리스''에 묘사된 그녀의 삶의 이야기를 해석하는 데 집중했다. 사트라피는 "실사 영화였다면, 우리와 닮지 않은 머나먼 땅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되었을 것이다. 기껏해야 이국적인 이야기가 되었을 것이고, 최악의 경우 '제3세계' 이야기가 되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12]

애니메이션 팀은 사트라피와 함께 그녀가 정확성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한 그래픽 이미지의 유형을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 협력했다. 마르크 주세와 같은 애니메이터들은 그녀의 지침에 따라 "전통 애니메이션 기술"을 사용하여 그림을 단순하게 유지하고 "구식이 될 수 있는" "더 높은 기술"을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13] 주세에 따르면 사트라피의 비전은 캐릭터의 자연스럽고 인간적인 신체적 결함에 많은 초점을 맞추는 것이었다.

애니메이션 팀은 초기 제작 단계에서 2D 이미지 기술을 "펜 태블릿"에서 사용하려고 시도했지만, 정의가 부족하여 즉시 제품에 불만족했다고 주세는 말했다.[13] 종이와 잉크와 같이 간단한 전통적인 기술을 제작에 적용함으로써 사트라피는 익숙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사트라피는 자신의 작품으로 인식되는 묘사, 즉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었다.[13]

사트라피는 감독 및 애니메이션 팀과 함께 영화의 지배적인 색상으로 흑백을 의도적으로 선택하여 전통 애니메이션 기술의 길을 계속 걸었다. 단순함에도 불구하고 주세와 같은 애니메이션 팀 구성원들은 흑백이 결함을 더 명확하게 만든다고 논의했다.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흑백만 사용하는 것은 상당한 훈련이 필요합니다. 기술적인 관점에서 실수를 할 수 없습니다 ... 큰 화면에서 즉시 나타납니다."[13] 색상 표시 외에도 애니메이션 팀은 만화로 알려진 일본 만화가들의 스타일을 모방하고 이를 "특정 스타일, 현실적이면서도 성숙한. 속임수, 트릭, 과장된 것은 아무것도 없는" 그들만의 기술로 번역하는 데 특히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13] 주세에 따르면, "마르잔은 매우 특이한 방식으로 작업했다 ... 마르잔은 모든 장면을 연기하는 것을 촬영하라고 고집했다 ... 그것은 애니메이터들에게 그들이 어떻게 작업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접근 방식을 제공하는 훌륭한 정보원이었다."[13] 이를 염두에 두고 애니메이터들은 "1,200개의 샷"의 각 이미지를 사트라피의 관점에서 만드는 데 직면한 엄청난 어려움에 대해 언급했는데, "마르잔의 그림은 매우 단순하고 그래픽적으로 보였지만 ... 식별 표시가 거의 없기 때문에 작업하기가 매우 어렵다. 현실적인 그림은 뛰어난 정확성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13]

애니메이션 작업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영화를 만들겠다는 사트라피의 결심은 애니메이터들이 각 그래픽 이미지를 완벽하게 정확하게 완성하도록 동기를 부여했다. 더 전통적인 스타일의 그래픽 이미지를 따르는 것은 그림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이미지를 그릴 팀을 찾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왜냐하면 전통적인 애니메이터는 "더 이상 프랑스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13] 그러나 100명 이상의 그룹과 함께 애니메이터 파스칼 슈베는 각 팀 구성원이 테이블에 가져온 다양한 스타일을 확인했다. "애니메이터는 캐릭터가 올바른 방식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데 더 집중할 것이다. 그 다음 어시스턴트 애니메이터가 원래 그림에 충실하도록 그림에 최종 손질을 할 것이다. 그런 다음 '추적' 팀이 들어와서 ... 펠트 펜으로 각 그림에 작업하여 영화 전체에 걸쳐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한다."[13]

현실적인 만화 그림을 만드는 것은 어려웠지만, 주세는 가장 큰 과제는 "프랑스에서 제작된 2D 영화로 적절한 600만유로"의 예산과 일정 내에 머무르는 것이라고 말했다.[13] 그러나 "진실한 이야기라는 사실, 주인공이 당신과 함께 일했다는 사실, 애니메이션 영화가 현재의 문제를 다루었고 성인을 위한 것이었다는 사실이 팀에게 엄청나게 흥미로웠다고 생각한다."[13]

4. 2. 애니메이션 및 디자인

이 영화는 원작 그래픽 소설의 흑백 스타일을 따른다. 마르잔 사트라피는 이 방식을 통해 특정 장소나 인물이 외국에서 온 것처럼 보이지 않고, 보편적인 인간의 이야기로 보이게 하려 했다고 설명했다. 영화에서 현재 시점의 장면은 컬러로 표시되지만, 과거를 회상하는 역사적 서술 부분은 흑백이며 그림자극 쇼와 유사한 느낌을 준다. 이러한 디자인은 미술 감독이자 총괄 프로듀서인 마크 주세가 만들었다. 애니메이션은 페르세프로드(Perseprod) 스튜디오의 작품이며, 전문 스튜디오인 즈 쒸 비엥 콩탕과 Pumpkin 3D에서 제작했다.

영화의 각본과 감독은 마르잔 사트라피와 뱅상 파로노(Winshluss)가 공동으로 맡았으며, 20명의 애니메이터가 제작에 참여했다. 제작자인 마르크-앙투안 로베르와 자비에 레골은 처음에는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의 어려움 때문에 반대하며 사트라피에게 실사 영화 등 다른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로베르는 "애니메이션 영화는 전혀 하고 싶지 않았다! ... 그것이 얼마나 복잡한 일인지 알고 있었다."라고 말했다.[12] 그러나 결국 제작자들은 사트라피의 의사를 존중하여 원작 소설 ''페르세폴리스''에 담긴 그녀의 삶의 이야기를 애니메이션으로 만드는 데 집중했다. 사트라피는 "실사 영화였다면, 우리와 닮지 않은 머나먼 땅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되었을 것이다. 기껏해야 이국적인 이야기가 되었을 것이고, 최악의 경우 '제3세계' 이야기가 되었을 것이다."라며 애니메이션을 선택한 이유를 밝혔다.[12]

애니메이션 팀은 사트라피와 긴밀히 협력하여 그녀가 의도한 그래픽 이미지의 정확성을 구현하고자 했다. 마크 주세와 같은 애니메이터들은 사트라피의 지침에 따라 전통 애니메이션 기술을 사용해 그림을 단순하게 유지하고, "구식이 될 수 있는" "더 높은 기술"은 피했다고 밝혔다.[13] 사트라피의 비전은 캐릭터의 자연스럽고 인간적인 신체적 결함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었다. 초기에는 펜 태블릿을 이용한 2D 이미지 기술을 시도했으나 결과에 만족하지 못했고, 결국 종이와 잉크 같은 전통적인 방식을 채택하여 사트라피가 자신의 작품으로 인식할 수 있는 그림체를 만들었다.[13]

흑백을 주된 색상으로 선택한 것은 의도적인 결정이었으며, 이는 전통 애니메이션의 방식을 따르는 것이었다. 애니메이션 팀은 흑백 작업이 기술적인 실수를 용납하지 않기 때문에 상당한 훈련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기술적인 관점에서 실수를 할 수 없습니다 ... 큰 화면에서 즉시 나타납니다."[13] 또한, 팀은 일본 만화 스타일을 참고하여 "현실적이면서도 성숙한", 속임수나 과장이 없는 그림체를 구현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13] 제작 과정을 돕기 위해 사트라피는 모든 장면을 직접 연기하는 모습을 촬영했고, 이는 애니메이터들에게 정확한 작업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13]

하지만 사트라피의 그림 스타일은 단순해 보이지만 식별 표시가 거의 없어 애니메이터들이 작업하기 매우 어려웠으며, 뛰어난 정확성이 요구되었다.[13] 또한, 프랑스 내에서 전통적인 애니메이터를 찾는 것도 쉽지 않았다.[13] 100명 이상의 팀원들은 각자의 다양한 스타일을 조화시켜야 했다. 애니메이터 파스칼 슈베에 따르면, 애니메이터는 캐릭터 움직임에 집중하고, 어시스턴트 애니메이터가 원화에 맞춰 최종 손질을 하며, '추적' 팀이 펠트 펜으로 각 그림에 작업하여 영화 전체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진행되었다.[13]

제작 과정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는 600만유로의 예산과 일정을 맞추는 것이었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실한 이야기라는 사실, 주인공(사트라피)이 함께 일했다는 사실, 애니메이션 영화가 현재의 문제를 다루었고 성인을 위한 것이었다는 사실"이 팀에게 큰 동기 부여가 되었다고 주세는 말했다.[13]

5. 평가

이 영화는 2007년 칸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되어 고요한 빛(Silent Light)과 함께 심사위원상을 공동 수상하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8][14] 전반적으로 비평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는데, 리뷰 집계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164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96%의 긍정적인 평가와 평균 평점 8.2/10을 기록했으며,[15] 메타크리틱에서는 31명의 평론가를 기준으로 100점 만점에 90점을 받아 "만장일치 찬사" 등급을 획득했다.[16] 여러 매체와 평론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며,[17][18] 시간이 지나도 ''엠파이어 (잡지)''의 "세계 영화 100선"[19] 및 ''루퍼''의 "역대 최고의 PG-13 영화 50선"[20] 등에 포함되는 등 꾸준히 작품성을 인정받고 있다.

5. 1. 비평가들의 반응

폴란드 바르샤바의 트램 정류장에 걸린 ''페르세폴리스'' 포스터. 이본나 노비츠카 촬영


리뷰 집계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 이 영화는 164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96%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8.2/10이다. 웹사이트의 평론가들은 "''페르세폴리스''는 감정적으로 강력하고 극적으로 매혹적인 자전적 보석이며, 영화의 단순한 흑백 이미지는 효과적이고 대담하다"고 평했다.[15] 메타크리틱은 가중 평균을 사용하여 31명의 평론가를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90점을 부여하며 "만장일치 찬사"를 받았다.[16]

''시카고 선타임스''의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에 별 넷 만점을 주며, 흑백 애니메이션이 단순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놀라울 정도로 몰입도가 높다"고 평가했다. 그는 사트라피의 이야기가 "배려심 있고, 사랑스럽고, 훌륭한 스타일로" 전달되며, "성장하는 여성을 다룬 많은 영화들이 조작된 상황을 다루는 반면, 여기에는 실제로 훌륭하게 성장하는 한 여성에 대한 영화가 있다"고 덧붙였다.[17]

''타임 (잡지)''의 리처드 코리스는 2007년 "최고의 영화 10편" 목록에서 이 영화를 6위로 선정하며 "고통스러우면서도 생동감 넘치는 성장 이야기"라고 칭했다.[18]

이 영화는 2010년 ''엠파이어 (잡지)''의 "세계 영화 100선"에서 58위에 올랐다.[19] 2024년에는 ''루퍼''가 "역대 최고의 PG-13 영화 50선" 목록에서 30위로 선정하며, "그래픽 노블을 영화로 각색할 때 원작의 독특한 그림체가 사라지는 경우가 있지만, 다행히 작가 마르잔 사트라피는 자신의 작품 ''페르세폴리스''를 직접 손으로 그린 애니메이션으로 각색하여 원작의 독특한 이미지를 훌륭하게 유지했다"고 평가했다.[20]

5. 2. 국제적인 반응과 논란

이 영화는 2007년 5월 23일 칸 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었으며, 고요한 빛(Silent Light)과 함께 심사위원상을 받았다.[8] 감독 마르잔 사트라피는 수상 소감에서 "이 영화는 보편적이지만, 이 상을 모든 이란인들에게 바치고 싶습니다."라고 밝혔다.[14]

그러나 영화는 이란 정부의 공식적인 항의에 직면했다. 2007년 칸 영화제 출품 전, 이란 정부와 관련된 파라비 재단은 테헤란 주재 프랑스 대사관에 서한을 보내 "칸 영화제가 이란에 대한 영화를 선택한 것은 관례에 어긋나고 부적절하며, 영화 일부가 이슬람 혁명의 성과와 결과를 비현실적으로 묘사했다"고 주장했다.[21] 이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란 문화 당국은 2008년 2월 성적인 내용을 이유로 6개 장면을 삭제한 후 테헤란에서 영화의 제한적인 상영을 허가했다.[22]

국제적으로도 논란이 이어졌다. 2007년 6월, 태국에서 열린 방콕 국제 영화제에서는 상영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영화제 감독 차탄 쿤자라 나 아유디야는 이란 대사관의 요청이 있었으며, 양국 관계를 고려해 상영하지 않기로 상호 합의했다고 설명했다.[23]

레바논에서는 일부 성직자들이 영화 내용이 "이란과 이슬람에 모욕적"이라고 주장하며 초기 상영 금지 조치가 내려졌다. 하지만 레바논의 지식인들과 정치계 인사들의 항의가 이어지자 금지령은 철회되었다.[24]

2011년 10월 7일, 튀니지의 민영 방송국 네스마에서 영화를 방영하자 다음 날 시위대가 방송국으로 행진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튀니스의 주요 이슬람 정당인 안나흐다는 이 시위를 비난했다.[25] 네스마 TV의 소유주 나빌 카루이는 "신성한 가치 침해" 및 "공공 질서 교란"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고, 유죄 판결과 함께 2400TND(1700USD; 1000GBP)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이는 예상보다 가벼운 처벌이었으나,[26] 국제앰네스티는 카루이에 대한 형사 소송 자체가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27]

6. 수상 및 후보 목록


  • 제80회 아카데미상
  • * 후보: 최우수 장편 애니메이션상.[28] 2005년의 ''하울의 움직이는 성'' 이후 처음으로 전통적인 애니메이션 후보작이 되었다. 또한 프랑스의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출품작이었지만 후보에 오르지 못했다.

  • 제35회 애니상
  • * 후보: 최우수 장편 애니메이션상
  • * 후보: 장편 애니메이션 연출상
  • * 후보: 장편 애니메이션 음악상
  • * 후보: 장편 애니메이션 각본상

  • 제33회 세자르상
  • * '''수상''': 최우수 데뷔 작품상 (뱅상 파로노, 마르잔 사트라피)
  • * '''수상''': 최우수 각색상 (뱅상 파로노, 마르잔 사트라피)
  • * 후보: 최우수 편집상 (스테판 로쉬)
  • * 후보: 최우수 작품상
  • * 후보: 최우수 영화 음악상 (올리비에 베르네)
  • * 후보: 최우수 음향상 (사미 바르데, 에릭 슈발리에, 티에리 르봉)

  • 제3회 크리스탈 글로브상
  • * '''수상''': 최우수 영화상

  • 런던 영화제 (2007)
  • * '''수상''': 서더랜드 트로피 (페스티벌 대상)

  • 시네마닐라 국제 영화제 (2007)
  • * '''수상''': 특별 심사위원상

  • 상파울루 국제 영화제 (2007)
  • * '''수상''':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밴쿠버 국제 영화제 (2007)
  • * '''수상''': 로저스 관객상 - 가장 인기 있는 국제 영화

  • 실버 콘도르상 (2009)
  • * '''수상''': 최우수 외국 영화상

  •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 * '''수상''': 애니메이션상

  •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 * '''수상''': 애니메이션상

  • 뉴욕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상
  • * '''수상''':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 '''수상''': 최우수 애니메이션상

  • 중동 국제 영화제
  • * '''수상''': 관객상

7. 기타

할리우드 리포터가 선정한 "성인 애니메이션 영화 베스트 10"에서 9위에 랭크되었다.[29]

참조

[1] 웹사이트 Persepolis http://bbfc.co.uk/re[...] British Board of Film Classification 2016-11-14
[2] 잡지 France takes art toons seriously https://variety.com/[...] 2008-05-30
[3] 웹사이트 Persepolis (2007) https://www.boxoffic[...] 2023-01-19
[4] 잡지 Persepolis https://variety.com/[...] 2024-08-12
[5] 웹사이트 Best Indie Animated Movies of All Time https://collider.com[...] 2021-11-19
[6] 웹사이트 22 Animated Cult Classics Worth Checking Out https://movieweb.com[...] 2023-06-28
[7] 웹사이트 Persepolis (2007) https://www.bfi.org.[...] British Film Institute 2023-11-17
[8] 웹사이트 Persepolis http://www.festival-[...] Cannes Film Festival 2009-12-20
[9] 웹사이트 List of Cannes Film Festival winners http://hosted.ap.org[...] 2007-05-27
[10] 잡지 'Persepolis' has shot at animated, foreign film Oscars https://www.hollywoo[...] 2007-12-19
[11] 웹사이트 The 80th Academy Awards 2008 https://www.oscars.o[...] Academy Awards 2014-10-07
[12] 웹사이트 'Persepolis' in Motion https://www.awn.com/[...] 2017-03-26
[13] 웹사이트 Interview with Marc Jousset http://www.filmeduca[...] Film Education 2017-03-26
[14] 웹사이트 Jury Prize: "Persepolis" by Marjane Satrapi and to "Silent Light" by Carlos Reygadas https://www.festival[...] Cannes Film Festival 2024-08-12
[15] 웹사이트 Persepolis https://www.rottento[...] 2024-08-12
[16] 웹사이트 Persepolis https://www.metacrit[...] 2021-03-10
[17] 뉴스 A modern Iranian teen discovers she can't go home again https://www.rogerebe[...] 2008-01-17
[18] 잡지 The 10 Best Movies http://www.time.com/[...] 2007-12-24
[19] 잡지 The 100 Best Films of World Cinema 58. Persepolis http://www.empireonl[...]
[20] 웹사이트 50 Best PG-13 Movies Of All Time Ranked https://www.looper.c[...] 2024-10-14
[21] 뉴스 Iran protests Cannes screening of movie https://gulfnews.com[...] 2007-05-21
[22] 웹사이트 Rare Iran screening for controversial film 'Persepolis' http://afp.google.co[...] 2008-02-14
[23] 웹사이트 Thailand pulls Iranian cartoon from film festival https://www.reuters.[...] 2007-06-27
[24] 뉴스 LEBANON: Iran revolution film 'Persepolis' unbanned http://latimesblogs.[...] 2008-03-28
[25] 웹사이트 Protesters attack TV station over film Persepolis https://www.bbc.co.u[...] BBC News 2011-10-09
[26] 웹사이트 Tunisia fines TV channel owner over controversial film https://www.bbc.co.u[...] BBC News 2012-05-03
[27] 웹사이트 Tunisia urged to drop charges over 'Persepolis' http://blog.bcdb.com[...] 2012-01-23
[28] 웹사이트 This award-winning animated film gave us a dangerous twist on coming-of-age https://collider.com[...] Collider 2023-08-24
[29] 뉴스 米誌選出「大人向けアニメ映画ベスト10」 日本映画最上位は「AKIRA」の4位 https://eiga.com/new[...] 2016-08-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